[뉴스1] 작년 민간 장애인 고용률 3.03%…법정 기준 격차 '역대 최소'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9회 작성일 25-05-02 10:30

본문


작년 민간 장애인 고용률 3.03%…법정 기준 격차 '역대 최소'


- 전체 장애인 고용률 3.21% 전년比 0.04%p 상승…고용인원 29만8654명


지난해 민간기업 장애인 고용률이 3.03%로 전년 대비 상승하면서, 법정 의무고용률(3.1%)과의 격차가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.


고용노동부는 28일 이런 내용이 담긴 '2024년 장애인 의무고용현황'을 발표했다.


지난해 장애인 고용률은 전체 평균 3.21%로 전년 대비 0.04%p 상승했다. 정부와 공공기관을 포함한 공공부문 고용률은 3.9%(+0.04%p), 민간부문 고용률은 3.03%(+0.04%p)이다. 장애인 고용인원은 29만 8654명으로 전년 대비 7331명 증가했다. 의무고용률 상향과 함께 장애인 고용률과 고용 규모는 꾸준히 개선 추세다.


중증, 여성 장애인 근로자가 전체 장애인 근로자 중 차지하는 비중도 각각 35.8%, 28.7%로 지속 상승 추세로 나타났다.


부문별로 보면, 민간기업의 고용 증가폭이 컸다. 민간부문의 장애인 고용률은 전년 대비 0.04%p 상승한 3.03%로, 코로나19 이후 상승 추세가 지속되면서 법정 의무고용률(3.1%)과의 격차가 0.07%p로 좁혀졌다. 이는 1991년 의무고용제도 시행 이후 최저 수준이다.


특히 1000인 이상 기업의 장애인 고용 개선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났는데, 지난해는 전년 대비 0.09%p 상승하면서 전체 고용률 상승을 견인했다.


공공부문의 장애인 고용률은 3.9%로 의무고용률(3.8%)을 상회했다. 지자체 5.92%, 공공기관 4.05%, 중앙행정기관 3.36%, 헌법기관 2.83%, 교육청 2.52% 순으로 지자체와 공공기관의 역할이 컸다. 다만 공무원의 장애인 채용은 다소 부진했는데 교원·군무원 등 특정직 공무원의 비중이 큰 기관의 고용률이 상대적으로 저조했다.


권진호 통합고용정책국장은 "장애인 한 분이라도 더 일할 기회가 주어질 수 있도록 장애인 고용 컨설팅 제공,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설립규제 완화 등을 통해 민간기업의 장애인 고용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"면서 "정부부문도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력해 장애인 채용을 독려하고, 연계고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장애인 고용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"라고 밝혔다.


- 기자 : 나혜윤 기자 

- 출처 : 뉴스1(https://www.news1.kr/economy/employment-labor/5766802)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